IRP계좌에서 ETF 를 운용하다보면 안전자산 30%의 벽에 걸린다.
IRP계좌에서 어떤 상품으로 어떻게 운용 할건지는 각자 맘이지만..
30% 정도는 채권으로 유지하지~ 뭐~
이렇게 생각하고 운용 했었지만..
안전자산 비중을 실질적으로 더 줄일 수 있다.
그 방법은 안전자산 100%로 매수 할 수 있는 ETF 중에 주식 비중이 있는 ETF 를 고르면 된다.
각 증권사마다 상품이 다르겠지만,
KODEX TRF3070, KBSTAR V&S 셀렉트벨류채권혼합, KBSTART 헬스케어채권혼합 등의 상품이 있다.
각자.. 땡기는걸로..
주식비중 40%인 상품이라면 실질 위험자산 비중은 82%가 되겠지.
7:3 비중을 지켜도 좋고, 8.2:1.8 로 해도 좋고 각자 편한대로.
근데 IRP는 강제 장기상품임..
게다가 ETF 상품이 늘었다고는 해도 시중에 비해서는 보수적임.
게다가 아무리 노력해도 현금(채권)비중이 강제로 18%는 가져가야 함.
(위험자산이 가파르게 상승했다면 다르겠지만)
재작년 작년 나름 7:3 비중을 지켰지만 나름 위험자산으로(나스닥)으로 셋팅 했었지만..
수익율은 17% 수준이였던듯. (작년 그 시장에? ㄷㄷ)
앞으로 20년은 운용해야 하는데... 나는 최대 위험자산으로 간닷!
'낙원계산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7000만원으로 5년후에 100억을 만드려면? (0) | 2021.07.20 |
---|---|
낙원계산기 업데이트 내용 (2) | 2021.07.09 |
자동매수 방법 찾는중 (0) | 2021.06.30 |
QLD와 TQQQ (0) | 2021.06.29 |
FIRE 계산 하기? (0) | 2021.06.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