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RP2 퇴직연금(IRP) 필요할까? 최대불입한도? IRP를 넣어야 할까? 이를 소개 하는 많은 컨텐츠가 있지만 나름대로 정리 하고 효과에 대해서 풀어보았다. IRP이 기본 효과는 매년 납입금액중 700만원에 대한 소득공제이다. 소득구간에 따라 다르겠지만 소득공제 금액 한도로 납입시에 92만원 정도 환급 받을 수 있다. 그리고 혜택 + 운용수익에 대해서 55세 이후 연금으로 수령시에 3.3~5.5% 연금소득세를 받게 된다. 연금수령액이 년 1200만원 미만일 경우에는 종합과세도 하지 않는다. (이부분은 부가적인이라고 생각하자) 여기까지만 봐도 효과가 조금 있다. 효과1. 소득공제 되는 금액. 효과2. 연금수령시의 낮은 소득세 그런데 단점도 있다. 납입한 금액을 쉽게 찾을수 없다는 거다. 한마디로 찾지 않을 금액을 넣어야 한다. 여기까지는 머.. 누구나 알.. 2021. 7. 21. IRP 안전자산 100%를 활용한 최대 위험자산 IRP계좌에서 ETF 를 운용하다보면 안전자산 30%의 벽에 걸린다. IRP계좌에서 어떤 상품으로 어떻게 운용 할건지는 각자 맘이지만.. 30% 정도는 채권으로 유지하지~ 뭐~ 이렇게 생각하고 운용 했었지만.. 안전자산 비중을 실질적으로 더 줄일 수 있다. 그 방법은 안전자산 100%로 매수 할 수 있는 ETF 중에 주식 비중이 있는 ETF 를 고르면 된다. 각 증권사마다 상품이 다르겠지만, KODEX TRF3070, KBSTAR V&S 셀렉트벨류채권혼합, KBSTART 헬스케어채권혼합 등의 상품이 있다. 각자.. 땡기는걸로.. 주식비중 40%인 상품이라면 실질 위험자산 비중은 82%가 되겠지. 7:3 비중을 지켜도 좋고, 8.2:1.8 로 해도 좋고 각자 편한대로. 근데 IRP는 강제 장기상품임.. 게.. 2021. 7. 1.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