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RP를 넣어야 할까?
이를 소개 하는 많은 컨텐츠가 있지만 나름대로 정리 하고 효과에 대해서 풀어보았다.
IRP이 기본 효과는 매년 납입금액중 700만원에 대한 소득공제이다. 소득구간에 따라 다르겠지만
소득공제 금액 한도로 납입시에 92만원 정도 환급 받을 수 있다.
그리고 혜택 + 운용수익에 대해서 55세 이후 연금으로 수령시에 3.3~5.5% 연금소득세를 받게 된다. 연금수령액이 년 1200만원 미만일 경우에는 종합과세도 하지 않는다. (이부분은 부가적인이라고 생각하자)
여기까지만 봐도 효과가 조금 있다.
효과1. 소득공제 되는 금액.
효과2. 연금수령시의 낮은 소득세
그런데 단점도 있다.
납입한 금액을 쉽게 찾을수 없다는 거다.
한마디로 찾지 않을 금액을 넣어야 한다.
여기까지는 머.. 누구나 알지
그래도 한번 간단하게 계산해보자.
아주 간단하게 매년 혜택 받는 소득공제 금액과 이를 나중에 연금소득세 3.3%로 낼때 얼마의 차이가 있는지
700만원 10년 납입시에 소득공제 환급 금액은 924만원이다.
혜택 대상 금액인 7000만원을 나중에 5.5% 연금소득세로 내면 385만원이다. (3.3% 대상은 일단 빼고)
539만원 이득이다.
여기에 세금은 실제 수령시에 내게 되니 할인율까지 적용하면 효과가 더 좋아진다. (이건 머 못빼는 패널티랑 퉁치자)
그럼 납입후 20년 동안 수령한다고 하면 매년 350만원씩 수령 받게 된다.
그런데 이건 납입금액에 대한 투자수익율을 적용 하지 않았다.
그래도 5% 정도 수익은 낼 수 있다고 해보자
그러면 매년 5% 수준인 460만원을 연금으로 받고도 퇴직연금 자산은 거의 줄어들지 않는다.
년 460만원짜리 (월 40만원) 낙원상태다.
그런데 납입금액 최대인 1800만원을 납입 하면 어떻게 될까?
왜 1800만원을 납입 하냐고? 멍청하다고? 정말 그럴까?
매년 1800만원을 납입하면 20년동안 900만원을 인출한다.
그리고 자산은 0원이다.
그런데 매년 5% 정도 수익을 번다고 해보자.
년 1180만원 연금을 수령하고 자산은 거의 줄어들지 않게 된다.
20년 동안 수령하는 2억3천만원에 대해서 내는 세금은 고작 590만원이다.
소득세율이 5.5% 이지만 실질 세금은 2.5% 수준이다.
만약 자금의 여유가 있어 납입한 금액을 인출할일이 없다면.. 최대불입금액으로 납입한다면 나름 괜찮은 월 흐름과 자산을 보유할뿐만 아니라 엄청난 세금적 혜택을 누를수 있게 된다.
2.5% 수준의 세금을 내는 자산이 있던가??
곧 국내주식 양도세가 도입이 된다...
지금이야 국내주식 양도세 비과세(일반)로 주식하면서 세금 고민 안한다지만,
해외주식은 차액에 22%씩 낸다..
고소득자는 높은 소득구간과 금융소득에 의한 종합소득세를 고려하면..
큰 메리트 이지 않을까?
IRP 최대불입의 장점:
효과 1. 세금 이연 효과
효과 2. 5% 미만의 소득세율
효과 3. 꽤 큰 금액의 노후 현금 흐름과 자산
어찌보면... 하나의 명의라고 생각해도 좋을듯 싶다.
제약은 있으나 세금을 거의 내지 않는. 그런 명의!
그런데 이건 낙원계산기로 계산 못하겠따아~~~
짧은 지식으로 만들었기에... 착오와 실수가 있을 수 있으니
넓은 마음으로 이해해주시고 틀린 부분을 알려주시길 부탁 드립니다.
'낙원계산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퇴직연금과 개인연금 (0) | 2021.07.23 |
---|---|
1억 7천으로 70억 만드는데? (0) | 2021.07.23 |
7000만원으로 5년후에 100억을 만드려면? (0) | 2021.07.20 |
낙원계산기 업데이트 내용 (1) | 2021.07.09 |
IRP 안전자산 100%를 활용한 최대 위험자산 (0) | 2021.07.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