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22 연금저축(IRP,개인연금) 소득공제보다 더 중요한 것은? 이전글에서 연금저축의 효과와 최대불입한도에 대해서 이야기 했다. https://dev-daze.tistory.com/19 퇴직연금(IRP) 필요할까? 최대불입한도? IRP를 넣어야 할까? 이를 소개 하는 많은 컨텐츠가 있지만 나름대로 정리 하고 효과에 대해서 풀어보았다. IRP이 기본 효과는 매년 납입금액중 700만원에 대한 소득공제이다. 소득구간에 따라 다르 dev-daze.tistory.com 여기서도 이야기 했었지만 개인연금의 효과는 명백하다. 그런데 그 단점도 분명 존재 한다. 1. 개인연금으로 불입한 돈은 단기간내에 인출 할 수 없다. 못해도 55세 부터 수령 할 수 있다.. 2. 투자상품이 제한적이다. 개별종목은 당연히 안되고 국내상장 ETF, 펀드, 리츠 위주로 투자 하게 된다. 물론 이것도.. 2021. 7. 25. 1억으로 156억을 만드려면? 누군가의 성공 스토리에 "몇백억 만들었다." 라는 문구가 있으면 한번 계산 해보게 됩니다. "그는 어떻게 1억으로 156억을 만들었을까?" 그리고 내용에는 이런저런 방법을 알려줍니다. 내용은 잘 파악 해야 하고 공부 해야 합니다. 저는 그냥 어느정도 수익을 내면 가능 할까?를 계산해봅니다. 10년이라면 66% 5년이라면 175% 입니다. 20년이라면 29% 입니다. 시간이 괜히 중요한게 아닙니다. 그리고 이제 나를 되돌아 봅니다. 나에게 있는 시간은? 나의 투자실력은? 나의자본금은? 2021. 7. 24. 급여의 가치 급여의 가치는 얼마일까? 안정적으로 들어오는 현금 흐름의 가치를 제하고 자본소득으로 급여만큼 벌 수 있는 수준을 계산 해보자. FIRE 계산 방식에 따르면 지출의 25배이니 급여의 25배를 해보면 되겠다. 급여의 25배라는 의미는 4%의 수익율을 내는 상품에 투자하여 자본소득을 만들겠다는 의미라고 볼 수 있다. 월 300의 수입을 위해 300만원 * 12개월 * 25배 = 9억 수익율 기준을 10%로 한다면 4%와 10%의 차이는 FIRE 자산의 차이가 크게 나타난다. 그래서 강환국 옹님께서는 수익율을 높일 수 있는 실력을 쌓으라고 하셨다. 4% 수준의 수익율이 가지는 의미도 작지 않다. 상대적으로 안전할것이고 안정적일 수 있다. (안정적인 흐름) 그런데 안전한게 꼭 안전하지 많은 않을 수 있다. 이미 .. 2021. 7. 23. 퇴직연금과 개인연금 결론은 개인연금은 투자상품에 상대적으로 자유롭다. 안전자산 비중이 없다. 퇴직연금은 700만원까지 소득공제가 된다. 안전자산 비중을 30% 가져가야 한다. 개인연금 소득공제 한도(400만원)를 채우고 퇴직연금 소득공제 한도(300만원)를 채우자. 그리고 추가 불입금액은 편한대로 불입 하자. 나는 개인연금으로... 비교는 잘 비교되어있는 아래 블로그로.. https://www.boolio.co.kr/958 연금저축 VS 퇴직연금(IRP) 장단점 비교 분석 - 연금은 불리오 가입조건연금저축 : 학생, 주부, 공무원, 회사원 등 누구나 가입 가능, IRP : 소득이 있는 근로소득자나 자영업자, 세액공제 한도, 연금저축 : 연 400만 원(근로소득 기준 연봉 1.2억 원 이하 기준으 www.boolio.co.kr 2021. 7. 23. 이전 1 2 3 4 ··· 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