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여의 가치는 얼마일까?
안정적으로 들어오는 현금 흐름의 가치를 제하고 자본소득으로 급여만큼 벌 수 있는 수준을 계산 해보자.
FIRE 계산 방식에 따르면 지출의 25배이니
급여의 25배를 해보면 되겠다.
급여의 25배라는 의미는 4%의 수익율을 내는 상품에 투자하여 자본소득을 만들겠다는 의미라고 볼 수 있다.
월 300의 수입을 위해
300만원 * 12개월 * 25배 = 9억
수익율 기준을 10%로 한다면
4%와 10%의 차이는
FIRE 자산의 차이가 크게 나타난다.
그래서 강환국 옹님께서는 수익율을 높일 수 있는 실력을 쌓으라고 하셨다.
4% 수준의 수익율이 가지는 의미도 작지 않다.
상대적으로 안전할것이고 안정적일 수 있다.
(안정적인 흐름)
그런데 안전한게 꼭 안전하지 많은 않을 수 있다.
이미 대중에게 인지 되어 있다.
그래서 그렇게 주식도 하고 부동산도 하고 코인도 하는거겠지
그런데 자본소득으로 벌어들이는 수익만이 중요한가?
간과하고 있는게 있다.
유의미한 자본소득을 얻기 위해선 그만큼의 자산도 필요하다.
결국 안쓰고 모으거나 더 많이 벌어야 한다.
더 많이 버는 방법은 뭐가 있을까?
직장은 안정적인 월수입을 만들어준다. 하지만 안정적이다.
안정적인곳에서 무엇을 이뤄야 할까?
바로! 능력이다!
능력을 통해서는??
내 능력이 더 의미 있고 누군가에게 가치를 줄 수 있도록 사용 되어야 한다.
결국 능력을 파는거다. 가치를 만드는거다. 그 가치에 의한 이익은 나에게 귀속 된다.
직장인과 사업가의 차이 일테다.
쉽지 않다. 아니 쉽지 않을 것이다. 아니 그럴것 같다.
나도 가보지 않았으니까..
누구나 다 했으면... 모두가 부자가 되게? 아니 모두가 그지가 되게?
모두가 할 수 있는 곳에서 부는 만들어지지 않으니까...
'낙원계산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금저축(IRP,개인연금) 소득공제보다 더 중요한 것은? (0) | 2021.07.25 |
---|---|
1억으로 156억을 만드려면? (0) | 2021.07.24 |
퇴직연금과 개인연금 (0) | 2021.07.23 |
1억 7천으로 70억 만드는데? (0) | 2021.07.23 |
퇴직연금(IRP) 필요할까? 최대불입한도? (0) | 2021.07.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