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낙원계산기

연금저축(IRP,개인연금) 소득공제보다 더 중요한 것은?

by 나시아 2021. 7. 25.

이전글에서 연금저축의 효과와 최대불입한도에 대해서 이야기 했다.

https://dev-daze.tistory.com/19

 

퇴직연금(IRP) 필요할까? 최대불입한도?

IRP를 넣어야 할까? 이를 소개 하는 많은 컨텐츠가 있지만 나름대로 정리 하고 효과에 대해서 풀어보았다. IRP이 기본 효과는 매년 납입금액중 700만원에 대한 소득공제이다. 소득구간에 따라 다르

dev-daze.tistory.com

 

여기서도 이야기 했었지만 개인연금의 효과는 명백하다.

그런데 그 단점도 분명 존재 한다.

 

1. 개인연금으로 불입한 돈은 단기간내에 인출 할 수 없다.

못해도 55세 부터 수령 할 수 있다..

 

2. 투자상품이 제한적이다. 개별종목은 당연히 안되고 국내상장 ETF, 펀드, 리츠 위주로 투자 하게 된다. 물론 이것도 충분한 상품이지만 과세 계좌대비 투자상품에 제약이 있는것은 사실이다. 개별투자 할걸 하고 생각이 들것 같으면.. 불입 할지 말지 고민 해봐라.

요즘 핫한 해외상장 ETF 투자도 안되니.. 이 부분도 누군가에게는 단점이 될 수도 있겠다.

 

3. 안전자산 비중이 있다. IRP의 경우 안전자산 비중을 30% 가져가야 한다. 개인연금은 위험자산 100% 가능하니 적당히 골라서 해야 한다. 그냥 30% 는 현금 가지고 있다~~ 하고 생각하면 맘편하다.  실질 위험자산 비중을 높이고 싶다면 안전자산 상품중에 주식 비중이 있는 상품을 골라서 하면 된다. TRF3070, V&S 셀렉트 벨류채권혼합, 헬스케어채권혼합 등의 상품이 있다.

https://dev-daze.tistory.com/14

 

IRP 안전자산 100%를 활용한 최대 위험자산

IRP계좌에서 ETF 를 운용하다보면 안전자산 30%의 벽에 걸린다. IRP계좌에서 어떤 상품으로 어떻게 운용 할건지는 각자 맘이지만.. 30% 정도는 채권으로 유지하지~ 뭐~ 이렇게 생각하고 운용 했었지

dev-daze.tistory.com

 

4. 대출에 제한이 있다. 개인연금에 불입한 자금에 대해서 담보대출(?) 받는데 제약이 있다. IRP는 대출이 안되는걸로 알고 있고, 개인연금은 가능하지만 담보비중이 그리 높지 않고, 개인연금내 상품에 따라서도 대출 여부가 결정 되기도 한다. 이건 증권사마다 다 다른것 같으니.. 나중에 시간되면 정리 해보자.

장기간 동안 묶여야 하는 자산에서 대출을 통해서라도 단기 융통이 되면 장기투자에 따른 부담이 적은데.. 이것조차 제한이 있으니.. 부담이 없을 수 없다.

 

 

결국 개인연금에 납입해야 하는 자금은 형태는..

1. 장기간 동안 투자가 가능하고,

2. 연금 형태로 받아도 무관한 자금

 

 

이런 유형의 사람은 조금 더 고민해보자.

1. 단기투자가 더 좋은 사람

2. 사회초년생

3. 미혼

4. 영끌로 부동산 사야 하는 사람

 

그래도 소득공제 내에서는 충분히 불입 할만하다고는 생각 한다.

700이 부담된다면 400 이라도.

 

10년간 불입한 금액

- 700만원 기준

700* 10년 =7천만원

 

- 400만원 기준

400 * 10년 = 4천만원

 

근데.. 그냥 돈 조금 여유있는 사람이 고려하는게 맞지 않을까 생각한다.

나도.. 초년생때는 결혼하고 집구하고 하느라... 못하겠더라..ㅠ

 

그리고 최근에는 코인이나 주식, 부동산등 벼락부자 되는 케이스들이 많으니... 

한푼이라도 아쉬울수 있다..

 

이해한다...

 

큰돈은 아니겠지만...  개인연금 불입이 꿀처럼 느껴질떄가 올거다.

 

사회초년생이나 고민 하는 사람들에게 한가지 추천하자면..

연금불입한다면 개인연금으로 소득공제 되는 한도로만 넣자.

그리고 증권사 선택할때 담보대출 되는 증권사로 하자.

 

ETF가 상품에 있으면 대출 안되는 증권사 있는데..  이거 잘 알아보고.

정 애메하면 계좌를 두개 만들어도 되고, 아니면 대출 필요할때 ETF 팔고 펀드로 갈아타도 된다.

 

그럼 불입한 금액에 50% 정도는 쓸 수 있으니.. 급할때 나름 요긴할거다.

 

 

'낙원계산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1억으로 156억을 만드려면?  (0) 2021.07.24
급여의 가치  (0) 2021.07.23
퇴직연금과 개인연금  (0) 2021.07.23
1억 7천으로 70억 만드는데?  (0) 2021.07.23
퇴직연금(IRP) 필요할까? 최대불입한도?  (0) 2021.07.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