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22 개발자에게 오류는 숙명이다 조금 거창한가? 열심히 하는 개발자가 있다. 실력을 조금 부족 할 수도 있겠다. 그래도 열심히 공부하고 열정적이고 변화를 추구 한다. 그런데 열정이 너무 앞섰나? 부족한 실력에 과한 열정이 오류를 범했고 시스템 장애로 이어졌다. 이때 개발자는 누구보다 고통스럽다. 자책하고 자책하고 절망한다. 자존감은 한없이 바닥으로 내려가고 회의감도 든다. 근데 이때 한 기획자가 옆에서 한마디 거든다. 신뢰를 잃은 개발자는 주위에서 핀잔아닌 핀잔을 듣고 너가 뭐만 하면 불안하다는 이야기를 듣는다. 그럼 그 개발자는 이후에 어떻게 하게 될까? 개발자의 프로그램은 최앞단에서 사용자와 만난다. 개발자의 실수는 바로 사용자에게 나타내고 사용자는 불편을 겪는다. 기획자의 실수는 어떻게 될까? 기획자의 실수는 개발자에 의해 구현되.. 2021. 7. 1. IRP 안전자산 100%를 활용한 최대 위험자산 IRP계좌에서 ETF 를 운용하다보면 안전자산 30%의 벽에 걸린다. IRP계좌에서 어떤 상품으로 어떻게 운용 할건지는 각자 맘이지만.. 30% 정도는 채권으로 유지하지~ 뭐~ 이렇게 생각하고 운용 했었지만.. 안전자산 비중을 실질적으로 더 줄일 수 있다. 그 방법은 안전자산 100%로 매수 할 수 있는 ETF 중에 주식 비중이 있는 ETF 를 고르면 된다. 각 증권사마다 상품이 다르겠지만, KODEX TRF3070, KBSTAR V&S 셀렉트벨류채권혼합, KBSTART 헬스케어채권혼합 등의 상품이 있다. 각자.. 땡기는걸로.. 주식비중 40%인 상품이라면 실질 위험자산 비중은 82%가 되겠지. 7:3 비중을 지켜도 좋고, 8.2:1.8 로 해도 좋고 각자 편한대로. 근데 IRP는 강제 장기상품임.. 게.. 2021. 7. 1. 자동매수 방법 찾는중 미국 ETF 정기적으로 매수 할 수 있는 방법을 찾는 중.. 딱히 잘 안나오네.. 대부분이 가격 기준으로 매수/매도 포인트를 설정하게 되어 있는데.. 그냥 정기적으로 자동으로 매수 하게 하는게 필요한데... 어디 없나?? @ 등락 기준도 있으면 좋고.. 매월 들어가서 사긴 좀 귀차니즘.. 2021. 6. 30. QLD와 TQQQ QLD와 TQQQ+현금(=2배) 로 투자 할때 성과가 어떨까? 2011년 ~ 2019년 말 까지 9년간 TQQQ(64%)+현금(33%) 비중으로 매년 리밸런싱 한다고 했을때 QLD와 TQQQ+현금은 동일한 퍼포먼스를 갖는다. MDD는 35%에 달한다. 둘다 수수료는 0.95%로 동일(높다...)하다. 상품 투자 비중이 다르니 TQQQ가 실제 수수료는 더 낮겠다. (어차피 주가에 반영되니...) 두 상품간의 비교에서의 차이점을 생각해보자 QLD - BUY & HOLD - 상대적으로 높은 실질 수수료 (동일 수수료율이지만 상품 투입 금액의 차이) - 기간내 매도를 하지 않아서 소득세로 인한 복리감쇄가 없다. TQQQ+현금 - 매년 리벨런싱으로 현금을 보유함으로 큰 하락기때 매수의 묘를... - 상대적으로 낮.. 2021. 6. 29. 이전 1 2 3 4 5 6 다음